목차
금연치료 지원사업
금연치료 지원사업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흡연자의 금연을 돕기 위해 의사 진료 및 상담과 금연치료 의약품 또는 니코틴 보조제 구입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혼자 금연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금연 성공률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제도입니다.
1. 지원대상 및 지원내용
- 지원대상: 금연치료를 희망하는 모든 국민.
- 지원내용:
- 8~12주 동안 최대 6회의 의사 진료 및 상담 지원.
- 금연치료 의약품 또는 니코틴 보조제(패치, 껌, 사탕) 구입 비용 지원.
- 3회차부터 진료 및 약제비 본인부담금 면제.
2. 이수 인센티브
- 이수조건을 충족한 경우, 본인부담금 전액 환급.
- 이수기준: 6회 내원 또는 치료제별 투약 기준 충족 (56일~84일).
3. 참여방법 및 절차
- 금연치료 의료기관 확인 및 방문.
- 금연치료 참여 등록.
- 진료 상담 후 금연치료 의약품 또는 니코틴 보조제 처방.
- 약국 방문 후 해당 의약품 또는 보조제 구입.
4. 금연 후 신체변화
- 20분 후: 맥박과 혈압 정상 회복.
- 12시간 후: 혈중 일산화탄소 농도 정상화.
- 2주~3개월 후: 폐 기능 개선, 섬모 정상 기능 회복.
- 1년 후: 관상동맥 질환 위험 절반 감소.
- 10년 후: 폐암으로 사망할 확률 절반 감소.
5. 금연치료 의료기관 찾기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금연치료 의료기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지원금액 및 본인부담금
- 1~2회 상담 및 의약품 구입 비용의 80% 지원.
- 3~6회 상담 및 의약품 구입 비용 전액 지원.
- 프로그램 이수 시 1~2회 본인부담금 환급.
담배의 전래와 구성성분
담배는 1492년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면서 원주민으로부터 담뱃잎을 선물받아 유럽에 처음 전해졌습니다. 이후 1561년 프랑스 외교관 쟝 니코(Jean Nicot)가 남미산 담배 품종인 Nicotiana tabacum을 유럽에 널리 확산시키면서 유럽 사회에서 담배는 약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담배는 점차 전 세계로 퍼졌습니다.
담배의 해로움
담배는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600만 명이 담배로 인해 사망하는데, 이 중 60만 명은 간접흡연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은 어린이와 여성입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평균 기대수명이 10-11년 짧아지며, 흡연은 특히 폐암, 기관지염, 폐기종 등 호흡기 질환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흡연은 모든 암의 **30~40%**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입니다.
담배의 유해 성분
담배 연기에는 5,000종 이상의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69가지 이상이 발암물질입니다. 미국 FDA는 해롭거나 잠재적으로 해로운 93가지 물질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주요 유해 성분:
- 타르: 담배가 탈 때 발생하는 끈적한 물질로, 각종 발암물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하루 1갑 흡연할 경우 1년에 한 컵 가량의 타르가 몸에 축적됩니다.
- 니코틴: 담배 중독의 원인 물질로, 흡연 후 빠르게 뇌에 도달해 중독성을 유발합니다. 금단증상으로 인해 금연이 어려워집니다.
- 일산화탄소: 산소와 적혈구의 결합을 방해해 저산소증을 유발하고, 만성피로, 동맥경화, 조기 노화의 원인이 됩니다.
그 외 대표적인 유해 물질:
- 나프탈린(좀약)
- DDT(살충제)
- 플로늄-210(방사선 물질)
- 청산가스(사형가스)
- 메타놀(로켓 연료)
- 벤조피렌(강력한 발암물질)
담배의 유해물질은 신체 전반에 걸쳐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며, 흡연과 간접흡연 모두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합니다.
흡연현황과 질병
한국의 흡연 상황
- 성인 흡연율: 한국의 19세 이상 성인 중 약 25%가 흡연 중입니다. 즉, 약 1000만 명이 흡연하고 있습니다.
- 성별 흡연율 (2014년 기준):
- 남성: 약 43%
- 여성: 약 6%
- 흡연 관련 사망 (2013년):
- 남성: 34.7%
- 여성: 7.2%
- 주요 사망 원인: 폐암, 뇌졸중, 허혈성 심장질환
직접흡연으로 인한 질병
2014년 미국 공중보건국장 보고서에 따르면, 직접흡연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질병이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 구강인두, 후두, 식도, 기관, 기관지, 폐, 급성골수성백혈병, 위, 췌장, 신장, 자궁경관, 방광, 결직장, 간, 대장암
- 당뇨, 황반변성, 결핵, 자궁외임신, 류마티스 관절염, 면역기능 저하
간접흡연으로 인한 질병
2014년 미국 의무총감 보고서에 따르면, 간접흡연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질병이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 성인: 뇌졸중, 비염, 폐암, 관상동맥심장질환, 기형아 및 저체중아
- 어린이: 중이질환, 호흡기계 증상, 폐기능 손상, 하부호흡기계 질병
간접흡연의 영향
- 어린이: 담배를 피우는 부모를 가진 어린이는 상기도 감염률이 비흡연 어린이보다 5.7배 높고, 폐암 발생률이 2배 높습니다.
- 배우자: 흡연자의 배우자는 비흡연자의 배우자보다 폐암 위험이 약 30%, 심장병 위험이 50% 더 높습니다.
여성 흡연의 특징
- 스트레스: 스트레스가 심한 상황에서 흡연을 시작하지만 장기적 흡연은 부정적 기분을 더욱 심화시킵니다.
- 체중 조절: 체중 조절을 목적으로 흡연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심혈관계 질환: 피임약과 함께 복용할 경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 조기 폐경: 하루 반 갑 이상 흡연 시 조기 자연 폐경의 위험률이 증가합니다.
- 금연의 어려움: 여성은 니코틴 수용체의 감수성이 높아 적은 양의 담배에도 심한 중독성을 보입니다.
- 피부 노화: 피부의 노화와 잡티가 심해지며, 난소암, 자궁암의 이환율이 높아지고, 저체중아 출산과 영아 사망률이 증가합니다.
- 월경 주기: 월경 주기에 따라 금연 성공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청소년 흡연의 특징
- 흡연율 감소: 2006년 이후 청소년의 전체 흡연율은 감소 추세입니다.
- 남학생 흡연율: 2006년 16.0%에서 2012년 16.3%로 변화 없이 높은 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신체적 영향: 담배의 니코틴이 성장호르몬 분비를 방해해 성장저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니코틴 중독: 흡연 시작 연령이 빠를수록 심한 니코틴 중독에 빠질 확률이 높습니다.
- 금연의 어려움: 청소년들은 금연 시도 1주일 만에 40%, 한두 달 내에는 60%가 실패하며, 최종 금연 성공률은 단지 3%에 불과합니다.
니코틴중독
니코틴의 특성과 중독
니코틴의 작용
- 흡수 경로: 담배를 피우면 니코틴은 연기와 함께 폐로 들어가 혈액 속으로 흡수됩니다. 흡입 후 10-20초 이내에 혈액뇌장벽을 통과하여 뇌에 도달합니다.
- 반감기: 니코틴의 반감기는 약 2시간입니다. 이로 인해 체내 농도가 빠르게 감소하며, 흡연자는 금단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 작용 시간: 니코틴은 흡입 후 7-10초 이내에 뇌의 니코틴 수용체를 자극하고, 뇌의 쾌감중추(ventral tegmental area)에 결합하여 도파민 분비를 촉진합니다.
니코틴의 중독
- 중독성: 니코틴은 담배 중독의 주요 원인으로, 흡연자의 95~100%가 중독되어 있습니다.
- 금단 증상: 니코틴 농도가 떨어지면 손발이 떨리고, 안절부절 못하며, 머리가 멍하고 감정 상태가 불안해지는 등의 금단 증상이 나타납니다.
- 니코틴 의존: 니코틴은 도파민 분비를 유도하여 쾌감과 긍정적 기분을 제공합니다. 금연 시 도파민 분비가 줄어들어 금단 증상과 내성이 발생합니다.
니코틴의 흡수와 분포
- 흡입 후 경로:
- 담배 연기 속의 니코틴이 기관지와 폐로 들어갑니다.
- 폐 속의 모세혈관을 통해 혈액으로 흡수됩니다.
-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분포한 후 뇌혈관을 통해 뇌의 신경 조직에 도달합니다.
- 효과:
- 뇌: 뇌의 니코틴 수용체에 작용하여 도파민을 분비시킵니다.
- 부신: 아드레날린 분비를 촉진시켜 심장 기능을 자극하고 혈액 응고를 쉽게 하며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이로 인해 가슴 두근거림과 안색 변화가 나타납니다.
흡연 갈망의 원인
- 긍정적 강화: 니코틴 흡입은 쾌감을 제공하여 뇌가 보상에 길들여지고 흡연 행동을 반복하도록 유도합니다.
- 부정적 강화: 금단 증상으로 인한 불편감을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흡연이 유도됩니다.
니코틴 의존의 악순환
- 내성과 금단: 니코틴 의존은 내성과 금단 증상으로 인해 흡연 행동이 반복됩니다. 금단 증상으로는 짜증, 집중력 저하, 불안, 우울감, 불면 등이 포함됩니다.
- 악순환: 금단 증상 완화를 위해 흡연을 반복하게 되며, 이는 다시 내성과 금단 증상을 유발합니다.
- 아침 첫 담배: 흡연자가 금연 상태에서 아침 첫 담배를 피우면 즐거움과 기분이 개선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내성이 빨리 생기고 긍정적 보상보다는 금단을 피하기 위한 흡연이 반복됩니다.
금연 후 신체변화
금연의 긍정적 신체 변화와 장기적 효과
신체의 즉각적 변화
- 금연 20분 이내: 맥박과 혈압이 정상으로 떨어집니다.
- 금연 12시간 후: 혈액 속의 일산화탄소와 산소 농도가 정상으로 회복됩니다.
- 금연 48시간 후: 후각과 미각 능력이 증가합니다.
- 금연 72시간 후: 호흡이 더 수월해집니다.
중장기 변화
- 금연 2주~3개월 후: 혈액 순환이 좋아지고 폐기능이 향상됩니다.
- 금연 1~9개월 후: 기침과 호흡곤란이 줄어들며, 폐의 자체 정화 기능이 정상화되고 감염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 금연 5년 후: 심장마비 사망 위험이 비흡연자와 거의 같아집니다.
- 금연 10년 후: 폐암 위험이 흡연자의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구강암, 인후암, 식도암, 방광암, 자궁경부암, 췌장암의 위험도 감소합니다.
- 금연 15년 후: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비흡연자 수준으로 감소합니다.
질병 발생 위험 감소
- 뇌졸중: 금연 후 5~15년이면 발병 위험이 담배를 전혀 피워 본 적이 없는 사람과 같은 상태가 됩니다.
- 구강, 인두, 식도암: 금연 후 5년이면 계속 흡연자의 절반으로 위험이 줄어듭니다.
- 후두암: 계속 흡연자에 비해 상당한 수준으로 위험이 감소합니다.
- 심장질환: 1년 후 계속 흡연자에 비해 위험이 반으로 감소하고, 15년 후에는 담배를 피워 본 경험이 없는 사람과 같게 됩니다.
- 만성폐쇄성 폐질환: 오랜 기간의 금연 후 만성폐쇄성폐질환 입원율이 34% 감소합니다.
- 폐암: 금연 후 10년이면 위험이 상당 수준 감소합니다.
- 췌장암: 금연 후 상당 수준 감소합니다.
- 궤양: 금연 후 상당 수준 감소합니다.
- 방광암: 금연 후 3~4년 후면 위험이 감소합니다.
- 자궁암: 금연 후 3~4년 후면 위험이 감소합니다.
- 저체중 신생아: 임신 전이나 임신 시작 후 3개월 이내에 담배를 끊은 임산부는 담배를 전혀 피우지 않는 사람의 수준으로 위험이 감소합니다.
- 말초동맥질환: 금연 후 상당 수준까지 위험이 감소합니다.
수명 연장 효과
- 30세에 금연: 10년의 수명이 길어집니다.
- 40세에 금연: 9년의 수명이 길어집니다.
- 50세에 금연: 6년의 수명이 길어집니다.
- 60세에 금연: 3년의 수명이 길어집니다.
금연정보
6개월 이상 금연 성공률
금연방법 | 성공률 |
자신의 의지 | 4% |
의사의 금연충고 | 8% |
낮은강도 → 20분미만의 금연에 대한 충고 및 1회 추가 방문 시 금연에 대한 충고 | 6% |
높은강도 → 첫 방문시 20분이상의 금연에 대한 충고, 금연책자 외에 추가적인 교육기자재 사용 및 2회 이상의 추가 방문시 금연충고 예정 | 12% |
전문가에 의한 개별 금연상담(금연상담전화 포함) | 11% |
약물치료 | |
니코틴 대체요법(껌, 패치, 스프레이, 흡입기, 알약 등) | 17% |
부프로피온(먹는약) | 19% |
바레니클린(먹는약) | 26% |
금연 의약품 사용
금연 의약품 사용
금연을 위한 의약품 사용은 금연을 시도하는 모든 흡연자에게 권장될 수 있으며, 특별한 경우에는 제외될 수 있습니다. (예: 임산부, 하루 흡연량이 적은 흡연자, 청소년 등)
부프로피온 (웰부트린 서방정, 니코피온 서방정)
- 승인 및 사용: 1997년 미국 FDA에서 금연 치료제로 승인된 약물입니다. 우울증 환자의 금연 치료에도 효과적이며, 니코틴 패치와 병용할 수 있습니다.
- 효과:
- 신경말단에서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차단하여 금단 증상을 줄입니다.
- 니코틴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금연을 지원합니다.
- 사용법 및 용량:
- 금연 개시일 1~2주 전에 복용 시작.
- 초기 3~6일간 하루 150㎎ (한 알)을 오전에 복용.
- 이후 하루 두 번, 각 150㎎을 7~12주간 복용 (총 1일 300㎎).
- 적어도 8시간 간격을 두고 복용합니다.
- 부작용:
- 흔한 부작용으로는 불면, 수면 장애, 입마름, 두통, 식욕 변화가 있습니다.
- 드물지만 경련을 유발할 수 있으며, 경련이나 두부 손상 병력자, 조울증 또는 섭식 장애가 있는 경우 사용이 제한됩니다.
- 참고:
- 금연 성공 후에도 일정 기간 약물을 더 복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 주의:
- 서방정(Sustained Release)이므로 분쇄하거나 씹지 말아야 합니다.
바레니클린 (챔픽스)
- 승인 및 사용: 2006년부터 시판된 금연 보조제입니다. 약물 치료 후 12주 성공률이 44%로, 위약에 비해 약 3배 높은 성공률을 보입니다.
- 효과:
- 니코틴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부분적으로 작용하여 금단 증상 및 흡연 갈망을 줄입니다.
- 사용법 및 용량:
- 금연 1주 전부터 복용 시작.
- 초기 3일간 하루 0.5mg을 한 번 복용.
- 이후 4일간 하루 0.5mg을 두 번 복용.
- 8일째부터 금연 2주차부터는 하루 1.0mg을 두 번 복용.
- 2주차부터는 2~4주 간격으로 경과 관찰.
- 부작용:
- 메스꺼움, 구역, 구토. 식후 30분에 충분한 물과 함께 복용하면 부작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수면 장애, 생생한 꿈, 변비, 고창, 두통, 기분 및 행동 변화, 자살 생각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식후에 복용하면 메스꺼움을 줄이고, 저녁식사 후 복용하면 불면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주의:
- 18세 미만 청소년, 임산부, 수유부는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아 권장되지 않습니다.
- 신장 기능이 떨어진 흡연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들 의약품은 금연을 돕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으며, 각 약물의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잘 지켜야 효과적으로 금연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금연 보조제
니코틴 대체 요법
니코틴 대체 요법(Nicotine Replacement Therapy, NRT)은 금연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약을 먹지 않는 경우보다 금연 성공률이 약 2배 더 높다고 합니다.
니코틴 대체 요법의 기본 원칙
- 전문가 상담: 니코틴 패치, 껌, 사탕 등의 병합 요법은 전문가 상담 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금연 보조제와 흡연: 금연 보조제를 사용하면서 흡연해서는 안 됩니다.
- 복용량: 니코틴 껌과 사탕은 하루 8~12개가 적당합니다.
- 피부 관리: 패치를 붙였던 부위는 깨끗이 물로 씻어내야 합니다.
- 임신과 청소년: 임신 중이거나 청소년에서는 금연 보조제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니코틴 패치
- 작용 원리: 니코틴이 피부를 통해 체내에 흡수됩니다.
- 사용 방법:
- 상완, 허벅지, 등판, 가슴팍, 엉덩이 등에 매일 다른 부위에 붙입니다.
- 아침에 붙이고 밤에 떼거나 (16시간형), 다음 날 아침에 떼어냅니다 (24시간형).
- 용량 및 기간:
- 하루 10개비 이하: 6주간 14㎎ 패치 후 2주간 7㎎ 패치 사용.
- 하루 10개비 이상: 4주간 21㎎ 패치 후 2-4주간 14㎎ 패치, 2-4주간 7㎎ 패치 사용.
- 사용 기간: 8~12주간 사용.
- 부작용:
- 국소 피부 반응 (빨갛게 되거나 가려움), 꿈의 이상, 불면증, 메스꺼움, 소화장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심각한 심장질환자와 임산부는 의사와 상담 후 사용해야 합니다.
니코틴 껌
- 작용 원리: 구강 점막을 통해 니코틴을 흡수시킵니다.
- 사용 방법:
- 천천히 1분간 씹고, 잇몸과 뺨 사이에 1~2분 간 쉬었다가 반복하여 30분 정도 씹습니다.
- 산성 음료는 흡수를 방해하므로, 껌을 씹기 15분 전후로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용량 및 기간:
- 대개 12주까지 사용. 하루 8~12개 사용, 최고 24개까지 사용.
- 처음에는 매 1~2시간마다 사용하고 점차 줄여갑니다.
- 하루 25개비 이상일 경우 4㎎ 껌, 25개비 미만일 경우 2㎎ 껌 사용.
- 부작용:
- 속이 울렁거리거나 딸꾹질, 턱관절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니코틴 사탕 (트로키)
- 작용 원리: 니코틴이 함유된 빨아먹는 알약입니다. 치아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사용 방법:
- 니코틴 껌과 비슷하게 니코틴이 든 침을 삼키지 않고 물고 있어야 합니다.
- 천천히 1분간 빨고, 잇몸과 뺨 사이에 1~2분 간 쉬었다가 반복하여 30분 정도 지속합니다.
- 용량 및 기간:
- 처음에는 매 1~2시간마다 1개씩 사용하고 점차 줄여갑니다.
- 첫 6주 동안 하루 최소 9개, 7-9주 동안 2-4시간마다 1개, 10-12주에는 4-8시간마다 1개로 줄여갑니다.
전자담배
전자담배의 역사와 현황
역사
- 1963년: 미국의 Herbert A. Gilbert가 최초의 배터리 충전식 연기 없는 담배를 개발하고 특허를 받았습니다.
- 2003년: 중국 약사 Hon Lik이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에 용해된 니코틴을 수증기로 만드는 아이디어를 고안했습니다.
- 2004년 5월: Hon Lik이 근무했던 중국의 Ruyan에서 최초로 전자담배를 출시했습니다. 이 시기에 카토마이저가 개발되었습니다.
- 2007년: 국제 특허 인증을 받았습니다.
- 2012년 이후: 국제 담배 회사들이 전자담배를 개발하거나 기존 전자담배 회사를 인수하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BAT가 Vype를 출시했습니다. 국내 회사인 저스트포그도 전자담배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전자담배의 구성과 원리
- 발광 다이오드(LED) 커버: 배터리 끝부분에 장착되어 담뱃불과 비슷한 시각 효과를 제공하며, LCD 창에 흡입 횟수와 배터리 잔량을 표시합니다.
- 배터리: 소형 충전지(리튬전지)와 전자회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기화 장치(무화기): 전자회로의 명령을 받아 카트리지의 액체를 수증기로 변환합니다. 카토마이저는 액체로 적셔진 폴리폼으로 둘러싸인 무화기입니다.
- 카트리지: 일회용 교환식으로 수증기로 변하게 될 액체와 흡수제를 포함합니다.
- 액체(e-liquid): 프로필렌 글리콜(PG), 글리세린(G),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PEG400), 향미료, 니코틴 등을 포함합니다.
전자담배에 대한 보건의료기구의 입장
- 세계보건기구(WHO):
- 2014년 7월: 전자담배가 금연에 도움을 준다는 근거는 불충분하며, 어떤 정부로부터도 금연 목적으로 승인된 바 없다고 보고했습니다.
- 2013년 7월: 공신력 있는 국가 규제 기구로부터 효과와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이상 전자담배를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했습니다.
- 미국 질병관리본부(CDC):
- 전자담배는 일반 담배보다 건강에 덜 해롭다는 근거가 있으나, 다양한 종류의 전자담배와 니코틴의 존재로 인해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 세계 폐재단(World Lung Foundation):
- 2014년 11월: 전자담배의 안정성과 청소년에서 니코틴 의존성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전자담배의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보고했습니다.
- 세계의학협회(World Medical Association):
- 2012년 10월: 임상시험과 엄격한 화학 및 동물 실험 연구가 부족하여, 전자담배의 금연 치료제나 담배 대용으로서 안정성이 확립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전자담배의 독성
- U.S. FDA, 2009:
- 일부 전자담배에서 발암물질인 담배특이 니트로사민(TSNAs)과 독성물질 디에틸렌 글리콜이 검출되었습니다.
- U.K. National Health Service, 2013:
- FDA에서 보고된 전자담배의 독성 화학물질은 담배 연기보다 1000분의 1 수준이며, 이 수준의 적은 양이 해로운지는 불확실하지만 걱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평가했습니다.
- 2012년 1월 공주대 신호상 교수 연구결과:
- 국내 시판 전자담배 121개의 액체 성분에서 발암물질 아세트알데하이드와 환경호르몬 디에틸프탈레이트가 검출되었습니다.
금연 효과
- 2014년 McRobbie 등, Cochrane Library:
- 총 13편의 연구(2편의 무작위 비교 임상시험 및 11편의 코호트 연구) 분석 결과, 전자담배는 위약에 비해 적어도 6개월 이상 금연 성공률이 2.29배 높았으나, 연구의 질적 수준이 낮았고 연구대상자 수가 적어 신뢰도가 낮았습니다.
결론
전자담배는 2004년부터 판매되기 시작하였으며, 전자담배 회사와 옹호론자들은 담배보다 덜 해롭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자담배는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발암물질이나 독성물질이 검출되기도 합니다. 보건 기구들은 전자담배의 안전성과 금연 효과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고 보고하며, 현재로서는 전자담배가 담배를 대체하여 금연에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는 명확한 근거가 부족하다고 결론짓고 있습니다.
약초담배 (금연초)
약초담배(금연초)의 개요
**약초담배(금연초)**는 담배 대신 흡연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식물성 제품입니다. 일반적으로 담배를 피우는 대신 약초로 만든 담배를 피우면서 금연을 시도하려는 사람들에게 광고됩니다. 사용자는 흡연욕구를 참기 힘들 때, 약초담배를 흡입하여 담배를 피운 것과 유사한 대리만족을 느끼게 됩니다.
특징
- 흡연욕구 충족: 담배를 대체하여 흡연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 니코틴 없음: 일반적으로 니코틴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니코틴 의존성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됩니다.
- 사용 지침: 사용자의 일일 담배 흡연량 이하로 사용하도록 권장됩니다.
독성 및 건강 위험
- 타르 및 일산화탄소: 약초담배는 타르와 일산화탄소를 포함하고 있어, 건강에 미치는 위해성은 일반 담배와 유사합니다.
- 발암물질: 일반 담배와 마찬가지로 발암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에 해롭습니다.
- 임상적 근거 부족: 약초담배의 금연 효과에 대한 임상적 근거는 부족하여, 금연을 위한 대체흡연제로 권장될 수 없습니다.
결론
약초담배는 담배를 대체하여 흡연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품으로 광고되지만, 타르와 일산화탄소를 포함하고 발암물질이 존재하여 건강에 해롭습니다. 또한, 금연 효과에 대한 임상적 근거가 부족하여 금연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금연을 시도하는 경우,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단증상
금단증상이란?
금단증상은 약물이나 중독성 물질의 사용이 중단되었을 때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변화입니다. 담배의 경우, 금연을 시작하면 금단증상이 발생하며, 이는 대개 금연 시작 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고, 2~3일째 최고조에 이릅니다.
금단증상의 주요 증상
- 신경과민
- 증상: 니코틴은 안정감을 주기 때문에, 금연 시 신경계의 혼란으로 신경질적이고 예민해짐.
- 대처방법: 휴식, 신선한 공기, 산책, 운동, 심호흡, 평화로운 장면 상상.
- 우울증
- 증상: 금연 후 울적함을 느끼며, 좌절감과 죄책감으로 더 우울해질 수 있음.
- 대처방법: 운동, 물 많이 마시기, 이완 운동, 따뜻한 물로 샤워, 과일 주스, 즐거운 생각.
- 불안
- 증상: 자율신경 및 내분비계의 부조화로 불안, 초조, 욕구불만 등.
- 대처방법: 온수 목욕, 가벼운 산책, 누워서 쉬기, 평화로운 장면 상상.
- 두통
- 증상: 혈액순환의 느려짐으로 두통 발생.
- 대처방법: 물 많이 마시기, 가벼운 운동, 온수 목욕, 신선한 공기, 짧은 휴식.
- 갈증, 목, 잇몸, 혀의 통증
- 증상: 입안의 화학물질에 길들여진 조직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통증 발생.
- 대처방법: 얼음물 또는 주스, 껌 씹기, 심호흡, 양치질.
- 집중력 감소
- 증상: 정신 집중의 어려움.
- 대처방법: 휴식, 심호흡, 필요 시 잠깐 눈을 붙이기.
- 소화장애
- 증상: 장 운동 느려짐, 변비, 가스.
- 대처방법: 고지방 음식, 단 음식, 카페인 섭취 피하기,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섬유소 많은 음식 섭취.
- 기침
- 증상: 기도를 막고 있던 가래와 타르 제거 과정.
- 대처방법: 물 많이 마시기, 기침 약하게 하기.
- 공복감, 배고픔
- 증상: 음식에 대한 갈망 증가 및 체중 증가.
- 대처방법: 칼로리가 낮은 스낵이나 음료 섭취, 적당한 운동.
- 불면
- 증상: 수면장애.
- 대처방법: 오후 6시 이후 카페인 음료 피하기, 긴장 풀기, 명상, 따뜻한 샤워.
- 피로감
- 증상: 피로를 쉽게 느끼는 상태.
- 대처방법: 무리한 일 피하기, 짧은 휴식, 주변에 양해 구하기.
- 따끔따끔 쑤시는 느낌
- 증상: 산소 공급이 정상화되면서 나타나는 느낌.
- 대처방법: 따뜻한 물로 목욕, 마사지, 가벼운 산책.
결론
금단증상은 금연을 시작하는 사람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다양한 신체적 및 정신적 불편함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대처 방법을 통해 금단증상을 관리하고 금연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가 금연지원사업 안내
전국 보건소 금연 클리닉
역사 및 확대
- 2004년 10월: 10개 보건소에서 금연 클리닉 시범사업 시작
- 2005년: 전국 보건소로 확대
서비스 내용
- 금연상담 서비스
- 상담사: 6개월간 총 9회의 금연 상담 제공
- 호기 일산화탄소 측정: 금연 진행 상황 모니터링
- 니코틴 대체제 제공
- 제공: 무료로 니코틴 대체제 제공
- 연락처 및 QR코드
- 건강증진개발원 금연 상담전화: ☎ 1544-9030
- 변경: ’22.1.1.부터 운영기관이 국립암센터에서 한국건강증진개발원으로 변경
- QR코드: [금연 상담전화 QR코드]
- 건강증진개발원 금연 상담전화: ☎ 1544-9030
금연캠프 및 찾아가는 금연지원 서비스
- 금연지원센터
- 위치: 전국 18개 금연지원센터
- 서비스: 무료 제공
- 찾아가는 금연지원 서비스
- 대상: 학교 밖 청소년, 대학생, 여성
- 기간: 6개월간 금연 상담 서비스 제공
- 단기 금연 캠프
- 일반지원형: 기관(단체) 소속 흡연자를 대상으로 1박 2일 합숙형 금연지원 서비스
- 전문치료형: 중증 고도 흡연자 및 금연 실패자(개인)을 대상으로 4박 5일 의료기관 합숙형 금연지원 서비스
- QR코드: [금연캠프 및 찾아가는 금연지원 서비스 QR코드]
금연지원 센터
서울금연지원센터
- 주소: (06591)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 가톨릭대학교 의생명산업연구원 2001호(2층)
- 전화: 02-592-9030
부산금연지원센터
- 주소: (49241)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융합의학연구동(구KT) 1층
- 전화: 051-242-9030
대구금연지원센터
- 주소: (42415)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170 권역 호흡기전문질환센터 1층
- 전화: 053-623-9030
인천금연지원센터
- 주소: (22332) 인천광역시 중구 인항로 27 인하대학교병원 3층
- 전화: 032-451-9030
광주금연지원센터
- 주소: (61453)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65 조선대학교병원 신관 지하 1층
- 전화: 062-222-9030
대전금연지원센터
- 주소: (35015)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266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3층 예방의학교실 320호
- 전화: 042-586-9030
울산금연지원센터
- 주소: (44033)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877 울산대학교병원 본관 로비층
- 전화: 052-233-9030
세종금연지원센터
- 주소: (30056)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학길 300 한국영상대학교 본관 7층
- 전화: 044-865-9030
경기남부금연지원센터
- 주소: (14066)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평로 176번길 14 평촌프라자 (한림대성심병원 연구동) 905호·917호
- 전화: 031-385-9030
경기북부금연지원센터
- 주소: (10408)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323 국립암센터 검진동 9층
- 전화: 031-924-9030
강원금연지원센터
- 주소: (26427)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일산로 29 4층
- 전화: 033-746-9030
충북금연지원센터
- 주소: (28644)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1순환로 776 충북대학교병원 충청권역 호흡기전문질환센터 8층
- 전화: 043-278-9030
충남금연지원센터
- 주소: (31151)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순천향 6길 31 순천향의과대학 학술관 519호
- 전화: 041-578-9030
전북금연지원센터
- 주소: (5453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무왕로 895 원광대학교병원 외래동 1층
- 전화: 1833-9030
전남금연지원센터
- 주소: (58128)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서양로 322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전남지역암센터 3층
- 전화: 061-372-9030
경북금연지원센터
- 주소: (36694) 경상북도 안동시 태사2길 55 안동의료원 5층
- 전화: 080-888-9030
경남금연지원센터
- 주소: (52727)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로 79 경상대학교병원 암센터 1층
- 전화: 080-777-9030
제주금연지원센터
- 주소: (6318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광로 175 아세아빌딩 5층
- 전화: 064-758-9030
금연관련 사이트
보건복지부 및 국가금연지원서비스
- 노담: 바로가기
국가금연지원센터
- 2015년 신설된 지역금연센터의 컨트롤 타워로, 찾아가는 금연서비스 및 금연캠프 등을 제공합니다. 바로가기
금연길라잡이
- 온라인 금연 프로그램으로 금연시계와 온라인 금연상담실을 운영합니다. 바로가기
청소년 금연짱
- 청소년을 위한 금연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바로가기
대한금연학회
- 국내 유일의 금연관련 전문학회로, 학술대회 자료와 금연학회지 논문들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한국금연운동협의회
- 흡연과 금연 관련 통계 및 자료실, 월간지 발행, 각종 금연 캠페인 등을 주관합니다. 바로가기
CDC Smoking and Tobacco Use
- 미국 질병통제센터에서 제공하는 금연 관련 fact sheets와 데이터 보고. 바로가기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미국 보건국이 제공하는 금연 정보. 바로가기
U.K. NHS Stop Smoking Treatments
- 영국 NHS에서 제공하는 금연 가이드라인. 바로가기
Quit Now
- 호주 정부가 제공하는 금연 종합 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술을 좋아하거나 간 기능이 좋지 않은 환자를 위한 금연약 정보
간 기능이 좋지 않거나 술을 즐기는 흡연자에게 적합한 금연약
술을 즐기거나 간 기능에 이상이 있는 흡연자라면, 바레니클린(챔픽스)이 추천됩니다. 이 약물은 신장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간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안전한 선택입니다. 반면, 부프로피온(니코피온서방정, 웰부트린 서방정)은 간에서 대사되므로 간 기능이 좋지 않거나 술을 자주 마시는 흡연자에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술자리와 금연약 복용
술을 즐기는 흡연자들 중 일부는 술자리에 가면 약을 일부러 안 먹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금연의 중요한 순간에 금연을 포기할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금연 치료를 받는 동안 술자리가 있을 때도 반드시 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레니클린과 부프로피온 모두 취기를 빨리 오르게 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술자리에서 과음은 절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연약과 다른 약물의 병용
바레니클린(챔픽스)은 약제상호작용이 거의 없어 당뇨약, 혈압약, 고지혈약 등과 함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부프로피온(니코피온서방정, 웰부트린서방정)은 MAO억제제, 항정신병약물, theophylline 등과 상호작용이 보고되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금연의 효과로 인해 와파린 같은 혈전용해제, 인슐린, 천식약 등의 대사가 변할 수 있으므로 점검이 필요합니다.
청소년과 임신, 수유부의 금연 처방
18세 미만 청소년과 임산부에게는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금연약이 없습니다. 그러나 동기부여가 되어 있는 경우, 니코틴 패치 등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임산부의 경우 니코틴 패치의 유효성이 부분적으로 인정되며, 위험과 이득을 고려해 처방해야 합니다. 패치를 사용할 경우, 태아의 지속적인 니코틴 노출을 피하기 위해 취침 전에는 패치를 제거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출산 후에는 수유부도 니코틴 패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모유에서 니코틴이 검출되지만 아기에게 위험한 정도는 아니라고 평가됩니다.
금연지원사업과 금연치료 지원
전년도에 금연지원사업에 참여하여 지원받았던 경우, 올해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1년에 2차수까지 금연치료가 지원되며, 현재 금연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병원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전국 어디서나 가까운 참여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금연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금연치료를 받으면 최대 84일(12주) 동안의 금연치료 의약품 및 금연보조제 구입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의사의 전문적인 금연 진료 및 상담도 포함됩니다. 고등학교를 재학 중인 청소년의 경우 의사의 판단 하에 의약품 처방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진료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댓글